본문 바로가기
IT

WWDC 2024 공개되는 iOS 18 새로운 기능 소개 및 예상

by iWater 2024. 5. 20.
반응형

 

 

WWDC 2024 공개되는 iOS 18 새로운 기능 소개 및 예상

 

안녕하세요, 애플 팬 여러분! 오늘은 애플이 iOS 18의 새로운 기능을 발표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. 다가오는 WWDC 2024에서 공식 발표될 예정이지만, 이번에 미리 공개된 기능들을 통해 애플의 혁신을 한 발 앞서 만나보세요.

 

차량 모션 신호 (Vehicle Motion Cues)

차량 모션 신호 기능은 많은 사용자들에게 특히 유용할 것입니다. 차량 탑승 시 발생할 수 있는 멀미를 줄이기 위해 개발된 이 기능은, 아이폰과 아이패드의 화면 가장자리에 애니메이션 점을 표시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시각적으로 전달합니다. 이는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에 맞춰 화면에 변화를 줌으로써 감각적인 충돌을 줄이는 방식입니다.

 

iOS 18 신기능 - 차량모션신호

 

이 기능은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활성화되지만, 제어 센터에서 손쉽게 켜고 끌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사용자가 차에 타면 아이폰이나 아이패드는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애니메이션 점을 표시합니다. 이는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 등의 센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현됩니다. 제어 센터에서는 이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는 토글 버튼이 제공되며, 접근성 설정에서도 세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옵션이 포함될 예정입니다.

 

또한, 애플은 이 기능이 단순히 멀미를 줄이는 것 외에도, 사용자에게 더 나은 주행 경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예를 들어, 장거리 여행 시나 교통 체증이 심한 도로에서 차량 모션 신호 기능이 활성화되면, 사용자는 화면의 애니메이션 점을 통해 차량의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어 멀미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 

아이 트래킹 (Eye Tracking)

아이 트래킹 기능은 AI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눈만으로 iOS iPad OS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합니다. 이는 주로 신체 장애가 있는 사용자를 위한 기능이지만, 일반 사용자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은 전면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눈 움직임을 감지하고,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버튼을 누르거나 제스처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. 설정 과정은 몇 초 내에 완료되며, 모든 데이터는 기기 내에서 처리되어 개인정보 보호도 강화됩니다.

 

이 기능은 사용자가 눈의 움직임만으로 홈 화면을 탐색하고 앱을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. 눈을 일정 시간 동안 특정 위치에 고정하면 해당 아이콘이 선택되며, 이 과정을 통해 물리적 버튼을 누르지 않고도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사용자는 눈을 사용해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, 사진을 찍을 수도 있습니다.

 

iOS 18 새로운 기능 - 아이트래킹

 

아이 트래킹 기능은 Vision Pro에서 사용하는 기술과 유사하게 작동합니다. 초기 설정 과정은 전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눈을 인식하고, 이를 기반으로 눈의 움직임을 추적합니다. 설정 과정은 몇 초 내에 완료되며, 사용자는 곧바로 이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모든 데이터는 기기 내에서 처리되어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됩니다.

 

이 기능은 특히 신체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손이나 팔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도 눈의 움직임만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,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것입니다. 또한, 이 기능은 일반 사용자에게도 유용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운전 중이나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눈의 움직임만으로 간단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음악 햅틱스 (Music Haptics)

음악 햅틱스 기능은 음악의 비트에 맞춰 아이폰의 탭틱 엔진을 활용하여 진동을 제공합니다. 이 기능은 청각 장애인이나 청각이 약한 사람들을 위해 설계되었지만, 많은 사용자들이 이 기능을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. 아이폰의 탭틱 엔진을 사용하여 음악의 비트에 맞춘 진동을 제공합니다.

 

iOS 18 새로운 기능 - 음악 햅틱스

 

애플은 이 기능이 애플 뮤직 라이브러리의 수백만 곡에 적용될 예정이며, 개발자를 위한 API도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.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음악을 들을 때 진동을 통해 비트를 느낄 수 있습니다. 이는 특히 청각 장애인이나 청각이 약한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 음악의 리듬을 진동으로 느끼며, 음악을 더 깊이 감상할 수 있게 됩니다.

 

이 기능은 음악 앱뿐만 아니라 잠금 화면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사용자는 음악을 재생할 때 음악 햅틱스 기능을 활성화하여, 음악의 비트에 맞춘 진동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 이 기능은 음악을 더욱 몰입감 있게 즐길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 

또한, 이 기능은 단순히 음악 감상을 위한 것이 아니라, 알림이나 경고음을 진동으로 전달하는 데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중요한 알림이 있을 때 진동으로 사용자에게 전달되어, 청각 장애인이나 청각이 약한 사용자도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도록 도와줍니다.

 

음성 단축어 (Vocal Shortcut)

음성 단축어 기능은 Siri가 인식할 수 있는 사용자 지정 구문을 설정하여 단축어를 실행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합니다. 사용자는 특정 작업을 선택하고 해당 작업을 실행할 구문을 녹음하여 아이폰에 가르칠 수 있습니다. 이후 홈 화면이나 다른 위치에서 해당 구문을 말하면 지정된 작업이 실행됩니다.

 

iOS 18 새로운 기능 - 음성단축어

 

이 기능은 복잡한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기능입니다. 예를 들어, 사용자는 "집 가기"라는 구문을 설정하여, 이 구문을 말하면 자동으로 내비게이션 앱이 열리고 집 주소로 경로를 안내합니다. 또한, "운동 시작"이라는 구문을 설정하여, 이를 말하면 운동 앱이 열리고 운동 기록이 시작됩니다.

 

음성 단축어 기능은 사용자가 직접 구문을 설정할 수 있어, 각자의 필요에 맞게 다양한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. 이는 일상 생활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어 줄 것입니다. 예를 들어, 자주 사용하는 앱이나 기능을 음성 명령으로 간단히 실행할 수 있어, 스마트폰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 

이 기능은 신체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특히 유용할 것입니다. 손이나 팔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도 음성 명령만으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또한, 이 기능은 일반 사용자에게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운전 중이나 손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음성 명령만으로 필요한 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비정형 발화 (Wide Range of Speech)

비정형 발화 기능은 기계 학습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발화 패턴을 인식하고, 사용자의 말하는 방식을 더 잘 이해하도록 돕습니다. 이 기능은 뇌성마비, ALS, 뇌졸중 등 발화에 영향을 미치는 질환을 가진 사용자에게 유용할 것입니다. Siri의 음성 인식 정확도가 높아져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음성 명령을 내릴 수 있게 됩니다.

 

iOS 18 새로운 기능 - 비정형 발화

 

이 기능은 사용자의 발화 패턴을 학습하여, 사용자가 말을 할 때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. 예를 들어, 발음이 부정확하거나 말의 속도가 일정하지 않은 경우에도 이 기능을 통해 Siri가 사용자의 말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. 이는 발화에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 

또한, 비정형 발화 기능은 사용자의 발화 패턴을 분석하여, 개별 사용자에 맞춤형 음성 인식 모델을 생성합니다. 이는 사용자가 말을 할 때마다 점점 더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.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음성 명령을 사용할 때 더 편리하고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 기능은 특히 Siri와의 상호작용에서 큰 장점을 제공합니다. 사용자가 Siri에게 명령을 내릴 때, Siri가 정확하게 이해하고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, 스마트폰 사용의 효율성이 크게 향상됩니다. 또한, 비정형 발화 기능은 일상 생활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여 메시지를 보내거나 전화를 걸 때, 발화가 정확하게 인식되어 사용자의 의도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.

 

CarPlay 접근성 기능

CarPlay에도 새로운 접근성 기능이 추가됩니다.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다양한 접근성 기능이 포함되어, 더 많은 사용자들이 CarPlay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 

iOS 18 새로운 기능 - CarPlay 접근성 기능

 

첫 번째로, 음성 제어 기능이 추가됩니다.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음성 명령만으로 CarPlay를 탐색하고 앱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. 예를 들어, 사용자는 "내비게이션 시작"이라는 명령을 말하면, CarPlay가 자동으로 내비게이션 앱을 열고 경로 안내를 시작합니다. 이를 통해 운전 중에도 손을 사용하지 않고 안전하게 CarPlay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두 번째로, 청각 장애인이나 난청 사용자를 위한 소리 인식 기능이 포함됩니다. 이 기능은 차량 내에서 발생하는 소리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알림을 제공합니다. 예를 들어, 차량 경적 소리나 사이렌 소리를 감지하면, CarPlay 화면에 알림이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달합니다.

 

세 번째로, 색맹 사용자를 위한 색 필터 기능이 추가됩니다. 이 기능을 통해 CarPlay 인터페이스의 색상을 조정하여, 색맹 사용자가 더 쉽게 인터페이스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이는 CarPlay 사용 경험을 더욱 향상시킬 것입니다.

 

마지막으로, 추가적인 시각적 접근성 기능도 포함됩니다. 사용자는 텍스트 크기를 크게 하거나, 텍스트를 굵게 표시할 수 있는 옵션을 통해 CarPlay 인터페이스를 개인의 필요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기능들은 시력이 약한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 

이 모든 기능들은 CarPlay를 더욱 접근성 있게 만들어, 다양한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CarPlay는 더 많은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도구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.

 

기타 iOS 18 접근성 기능

마지막으로 소개할 기능들은 iOS 18의 기타 접근성 기능들입니다.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다양한 접근성 기능이 포함되어, 더 많은 사용자들이 iOS 기기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.

 

첫 번째로, VoiceOver 기능이 개선되었습니다. 새로운 음성이 추가되어 사용자는 다양한 음성을 선택할 수 있으며, 유연한 음성 로터와 맞춤형 볼륨 제어 기능도 제공됩니다. 또한, VoiceOver 키보드 단축키를 사용자 지정할 수 있는 옵션이 추가되어,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VoiceOver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두 번째로, Voice Control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. 이제 사용자는 복잡한 단어와 사용자 지정 어휘를 Voice Control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음성 명령을 더욱 정확하게 인식하고 반응할 수 있게 됩니다.

 

세 번째로, 돋보기 앱에도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. 새로운 리더 모드가 포함되어 텍스트를 쉽게 읽을 수 있으며, 탐지 모드를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옵션도 제공됩니다. 이는 저시력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 

네 번째로, 물리적 장애 사용자를 위한 가상 트랙패드 기능이 추가되었습니다. 이 기능을 통해 사용자는 화면의 작은 영역을 트랙패드처럼 사용하여 기기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. 이는 물리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.

 

마지막으로, 브라유 사용자들을 위한 새로운 기능도 추가되었습니다. 브라유 화면 입력을 통한 빠른 제어와 텍스트 편집이 가능해졌으며, 다중 라인 브라유 지원 및 다양한 입력 및 출력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도 제공됩니다.

 

WWDC 2024 초대장 포스터

 

이 모든 기능들은 iOS 18에서 제공될 예정이며, WWDC 2024에서 더 많은 세부 사항이 공개될 것입니다. 이번 발표는 접근성 기능을 중심으로 한 것이지만, 많은 사람들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. 앞으로도 애플의 접근성 기능이 더 발전하기를 기대합니다. WWDC 2024에서 발표될 iOS 18의 주요 기능들을 놓치지 않도록 계속 지켜봐 주세요!

반응형